검색창 새문서 최근바뀜 전체문서(184) 파일함 최근토론 위키톡 카테고리 편집 위키정보 운영자 dailysciences 개설일 16.06.02 위키타입 Open 테마 과학기술 총 편집자수 9 총 문서수 184
새문서 최근바뀜 전체문서(184) 파일함 최근토론 위키톡 Open Wiki 일상과학 WiKi 대문 최후통첩 게임 최후통첩 게임Ultimatum game더럽고 치사해서 안한다.우리는 손해를 감수하면서까지 불의에 저항하는 뇌를 가지고 있다.1. 개요최후통첩 게임을 그림으로 나타낸 것.게임이론에서 나오는 개념으로 이 게임은 '당신은 얼마의 손해를 감수하고서라도 공평함을 추구하는가?' 혹은, '불공평을 처벌하려는 심리'에 대한 실... 2017.07.25 13:01 dailysciences 레밍과 군중심리 한국에서의 정식 명칭은 나그네쥐이지만 ' 레밍의 집단 자살'로 많이 알려져 영문명인 레밍으로 많이 알려져 있는 동물이다.1. 레밍계동물계문척삭동물문(Chordata)강포유강(Mammalia)목설치목(Rodentia)과비단털쥐과(Cricetidae)족레밍쥐족(Lemmini)햄스터와 비슷하게 생겼는데 햄스터도 비단털쥐과에 속... 2017.07.25 11:04 dailysciences 우주에서 우리의 위치 우리는 어디에 있을까?1. 개요영화 『스타워즈 에피소드 7: 깨어난 포스』에 보면 R2-D2와 BB-8이 각자 가지고 있는 지도를 하나로 합쳐 은하의 지도를 만들어내는 장면이 나온다. 맨처음에 인류는 당연히 지구가 우주의 중심에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이러한 패러다임을 가지고 있던 시절에는 "우리는 왜 존재할까... 2017.07.22 15:28 dailysciences 파놉티콘 파놉티콘Panopticon누군가가 감시를 하지 않아도 항상 감시를 받는 것 같은 그런 느낌적인 느낌.1. 개요공리주의로 유명한 제러미 벤담이 처음 생각해낸 원형 감옥.현대에 와선 의미가 확장되어 개인 정보가 속수무책으로 노출되는 거대한 정보사회의 감시체계를 의미하기도 한다. 감시사회를 이야기할때, 소설 『1984』에 등장... 2017.07.17 15:12 dream16 72의 법칙 - 복리의 마법 72의 법칙Rule of 72자산이 두 배로 늘어나는 데 걸리는 시간과 수익률을 구하는 공식1. 개요수학의 오묘한 성질이 드러나는 공식이다. 아인슈타인도 "복리는 가장 위대한 수학의 발견이다."라고 말했다고 한다.기본공식은 다음과 같다.72 ÷ 수익률 = 원금이 두 배가 되는 시기(년)72 ÷ 기간 = 연수익률복... 2017.07.14 14:34 dream16 카필라노 흔들다리 카필라노 흔들다리capilano suspension bridge캐나다 노스 벤쿠버에 있는 카필라노 강 위에 걸쳐져 있는 다리이다. 흔하디 흔한 이 다리가 유명해진 것은 다름아닌 '흔들다리 효과'가 탄생한 곳이기 때문이다.1. 개요3735 Capilano Rd, North Vancouver, BC V7R 4J1, Canad... 2017.07.13 17:20 dailysciences 베블런 효과 베블런 효과Veblen effect비쌀수록 잘 팔린다!1. 개요경제인이 '합리적'일때의 그래프(왼쪽)와 베블런 효과를 따를 때의 그래프(오른쪽)'합리적'이라고 가정할 경우, 가격이 비쌀수록 소비는 줄어들어야하나 실제로는 가격이 비싸질수록 소비가 늘어나게 된다.전통적인 경제학에서는 인간을 모두 합리적이라고 가정하고 경제적인... 2017.07.09 14:58 dream16 오컴의 면도날 오컴의 면도날Occam's RazorOckham's Razor같은 현상을 설명하는 두 개의 주장이 있다면, 간단한 쪽을 선택하라given two equally accurate theories, choose the one that is less complex1. 개요어떠한 현상을 설명하는데에는 다양한 해석 방법이 있는데 그... 2017.07.08 16:52 dailysciences 천국은 지옥보다 뜨겁다 천국은 지옥보다 뜨겁다Heaven is Hotter than Hell간혹가다 과학자들이 정신나간 계산을 하곤 하는데 이런 것이 대표적인 예이다.1. 개요이 주장은 1972년 발간된 《응용 광학Applied Optics》(11 A14)에 실려있었다. 이를 주장한 Tim Healy박사는 성경에서 그 근거를 찾았는데 이 계산 ... 2017.07.07 10:40 dream16 옥자와 GMO ※ 스포일러함유옥자Okja1. 개요옥자와 미자옥자는 2017년 6월 29일, 넷플렉스 및 일부 멀티플렉스관에서 개봉한 봉준호 감독의 신작이다.현재까지 좋은 평을 받으며 흥행 또한 순항중인데 동물을 소재로 한, 그것도 유전자 조작 슈퍼 돼지(...)를 전면에 내세운 작품이라 한국에서의 흥행 자체가 상당히 이례적인 편이다.&... 2017.07.04 11:01 dream16 파스칼의 내기 파스칼의 내기(Pascal's wager)신이 있느냐, 없느냐를 놓고 내기를 한다면 '신은 있다'에 거는 편이 언제나 유리하다.1. 개요흔히 '파스칼의 내기', 또는 조금 어려운 말로 '파스칼의 기독교 변증론'이라고 한다. 술자리에서 신의 존재 증명에 대한 내기를 한다면, 대체 왜? 파스칼의 내기를 기억하고 반드... 2017.07.04 10:46 dailysciences 날아다니는 스파게티 괴물 날아다니는 스파게티 괴물Flying Spagetti Monster a.k.a. FSM위의 그림에 나와있는 스파게티 괴물, 혹은 이 성스러운(?) 존재를 섬기는 종교.공식홈페이지(영어)공식홈페이지(한국지부)FMS 트위터(영어)종교의 창시자, Bobby Henderson의 트위터1. 개요FSM의 로고.FSM의 상징인 해적 물... 2017.06.28 10:39 dailysciences 테세우스의 배 역설 테세우스의 배 역설The ship of TheseusTheseus's paradox 배의 모든 요소가 교체되어도 여전히 같은 배인가?1. 개요테세우스의 배 역설은 플루타크의영웅전, 테세우스편에서 처음 언급되었다. 테세우스는 미노타우로스를 물리친 영웅으로 알려져 있다. 이 역설은 미노타우로스를 물리치고 테세우스가 배를 타고... 2017.06.27 14:03 dailysciences 야필패 - 상대편 야스오는 왜 항상 강할까? 야필패.야스오를 픽하면 반드시 패한다.야스오는 과학입니다.5충대장군 중 가장 나중에 나왔지만 가장 높은 악명을 자랑하는 충챔프계의 독보적 1인자이다.5충대장군.각각 탑, 정글, 미드, 원딜, 서포터를 맡고 있어서 실제 5충대장군파티도 가능하다.1. 야필패 / 야스오는 과학입니다.야스오는 2013년 12월 18일,... 2017.06.25 22:32 dailysciences 인류 원리 인류 원리anthropic principle인류 원리 또는 인간 중심 원리라고 한다. 가장 단순히 말하면 우주가 존재하는 이유는 이러한 질문을 던질 지적인 존재1가 우주에 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1. 인류 원리Brandon Carter, (1942 ~ )인류 원리라는 개념은 호주의 물리학자인 브랜던 카터가 1973년에 소... 2017.06.22 16:15 dailysciences 키를리안 사진 (feat. 영혼의 사진?) 키를리안 사진.흔히 영혼의 사진이라고 알려져 있다.1. 개요키를리안 사진이란 위와 같이 평소에 우리 눈에 보이지 않던 빛이 물체의 주변을 감싸고 있는 모습을 촬영한 사진이다. 다른 말로 Electrography라고도 하며 이러한 사진이 유사과학쪽으로 흘러들어가면서 영혼, 기, 오라(Aura)의 사진이 찍혔다는 말... 2017.06.20 19:52 dailysciences 몬데그린 현상 모든 것이 한국어가 된다!몬데그린이란 처음 듣는 외국어가 자신이 알고 있는 언어로 들리게 되는 현상을 말한다.최근 유행하는 몬데그린으로는 역시 류승룡 기모찌가 대표적이다.1. 개요의미를 알 수 없는 외국어의 전부 또는 일부가 듣는 사람의 모국어처럼 들리는 일종의 착각 현상을 말한다. 주로 새로운 정보(외국어의 음)를 기본... 2017.06.20 12:11 dailysciences 힐베르트의 호텔 힐베르트의 호텔.무한에 대해 얘기할 때 빠지지않고 등장하는 이상한 호텔.손님을 계속해서 옮겨대는 정말 끔찍한 호텔.1. 역사David Hilbert, (1862.1.23 ~ 1943.2.14)이름 그대로 힐베르트가 생각해낸 가상의 호텔이다. 독일인이라 데이비드 힐버트가 아니라 다비트 힐베르트라고 읽는다. 힐베르트... 2017.06.20 09:05 dailysciences 슈뢰딩거의 고양이 1. 개요과학역사 사상 가장 유명해진 가상의 고양이. 실제 고양이의 이름을 슈뢰딩거라고 짓는 사람도 많다고 한다!이름 그대로 에르빈 슈뢰딩거라는 사람이 제안했으며 머릿속에서 생각만으로 진행하는 '사고실험'이므로 불쌍한 고양이의 목숨의 걱정은 안해도 된다.에르빈 슈뢰딩거. 1887년 8월 12일 ~ 1961년 1월... 2017.06.20 09:00 dailysciences 떨어지는 고양이 문제 ※ 이 위키를 보고 고양이를 집어 던지면 안 된다!원숭이도 나무에서 떨어지듯 가끔 고양이도 실수할 수도 있다. 괜히 실험해보겠다고 길고양이나 애완 고양이를 떨어뜨리면 진짜 다칠 수도 있다!이 실험을 한 것은 1800년대 후반으로 고양이의 냥권은 물론 사람에 대한 인권도 없었던 시절... 2017.06.19 19:57 dailysciences 캠릿브지 대학의 연결구과 글자낚시.그런데도 잘 읽히는 기적.캠릿브지 대학의 연결구과 혹은캠브릿지 대학의 연구결과1. 개요Aoccdrnig to a rseearch taem at Cmabrigde Uinervtisy, it deosn't mttaer in waht oredr the ltteers in a wrod are, the olny iprmo... 2017.06.19 15:59 dailysciences 행성사냥꾼 행성사냥꾼Planet Hunters외계의 별의 주위를 도는 행성을 찾는 과학, 또는 그런 사람들.위의 그림은 Planet Hunters의 로고이다.1. 행성사냥꾼행성사냥꾼이란 인간의 눈으로 외계행성을 찾는 시민과학 프로젝트(citizen science project)이다. 별이 아니라 이미 알려져 있는 별에 딸린 행성을 ... 2017.06.17 13:39 dailysciences '자유의지'의 존재에 관한 실험 살아가는 것은 수많은 선택의 연속이다. 오늘 점심은 무엇을 먹을까라는 비교적 간단한 선택부터 「매트릭스」의 네오처럼 모든 인류의 운명을 좌우할 하나의 선택같은 어려운 선택도 있다. 이러한 선택은 모두 내가 자유의지를 가지고 있다는 전제에서 출발하며 이 자유의지라는 것은 의심할 여지 없는 당연한 개념으로 여겨져 ... 2017.06.16 20:03 dailysciences 아인슈타인과 GPS 최근 한국에서 정식 개봉한 포켓몬GO!는 증강현실에다가 GPS기술을 접목시켜서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 있다. 그리고 전설의 포켓몬이 출현하는 곳이라든지 포켓스탑을 직접 찾아가지 않고도 방안에서 GPS조작을 통해 마치 그 위치에 있는 것처럼 꾸며내는 방법이 퍼지면서 많은 논란을 일으키고 있다.GPS의 원리는 무엇이며 어떻게 ... 2017.06.16 19:03 dailysciences SETI@home SETI@home세티 앳 홈1. SETI프로젝트SETI프로젝트란 Search for Extra-Terrestrial Intelligence project의 약자로써 말 그대로 ‘지적’외계인을 찾는 프로젝트이다. 그렇다고 UFO사냥꾼이나 외계인에 납치당했다는 신빙성없는 주장과는 다르다. SETI프로젝트는 정말로 ‘진지한’ ... 2017.06.16 16:51 dailysciences 로봇 3원칙 로봇의 3원칙을 레고로 만든 것. 각각 1,2,3원칙을 잘 표현하고 있다.1. 로봇 3원칙제 1원칙로봇은 인간에 해를 가하거나, 혹은 행동을 하지 않음으로써 인간에게 해가 가도록 해서는 안 된다.A robot may not injure a human being or, through inaction, allow a huma... 2017.06.15 20:45 dailysciences 숫자 세기 feat.큰 숫자 빨리 읽는 팁 1. 수양(量)을 기술하기 위해 만든 수학적인 체계.수학을 배우기 위한 가장 기초 단계이다. 가장 간단한 자연수에서 시작하여 0과 음의 정수를 포함한 정수, 유리수, 무리수, 실수, 허수 등이 있으며 간단한 수체계의 집합관계는 다음과 같다.보통 사람들이 일상생활에서 다루는 수는 많이 쳐줘서 분수와 소수점을 쓰는 유리수정도... 2017.06.15 17:32 dailysciences 코끼리는 생각하지마 feat. 갑철수와 MB아바타 1. 코끼리는 생각하지마프레임 전쟁에서 흔히 사용하는 말이다. 이 말은 2004년 조지 레이코프(George Lakoff)가 쓴 『코끼리는 생각하지마: 미국의 진보세력은 왜 선거에서 패배하는가』1에서 처음 나왔다. 한국에서도 2006년에 번역, 출판되었고 개정판이 2015년에 다시 한 번 출간된 바 있다.말그대로 코끼리를... 2017.06.15 14:54 dailysciences 칵테일 파티 효과 칵테일 파티 효과Cocktail Party Effect각종 소음이 난무하는 시끄러운 곳에서도 자신이 관심있는 단어는 또렷히 들린다. 바로 칵테일 파티 효과라고 명명된 현상 때문이다.1. 칵테일 파티 효과1-1. 칵테일 파티장 혹은 시끄러운 장소시끄러운 칵테일 파티장을 상상해보자. 수많은 사람들이 모여 삼삼오오 무리지어 이... 2017.06.15 14:54 dailysciences 귀여운 공격성(Cute Aggression) 1. 개요귀여운 것을 보면 자신도 모르게 깨물어 주고 싶은 충동이 이는 상태. 이는 학계에서도 귀여운 공격성Cute Aggression이라는 심리학적 용어를 사용할 만큼 정상적인 충동이다.결론부터 말하자면 이런 충동이 일어나는 이유는 감정의 평형을 찾기 위해서라고 한다.귀여운 동물이나 아기를 봤을 때 우리 뇌는 과도하게 ... 2017.06.15 14:53 dailysciences
최후통첩 게임 최후통첩 게임Ultimatum game더럽고 치사해서 안한다.우리는 손해를 감수하면서까지 불의에 저항하는 뇌를 가지고 있다.1. 개요최후통첩 게임을 그림으로 나타낸 것.게임이론에서 나오는 개념으로 이 게임은 '당신은 얼마의 손해를 감수하고서라도 공평함을 추구하는가?' 혹은, '불공평을 처벌하려는 심리'에 대한 실... 2017.07.25 13:01 dailysciences
레밍과 군중심리 한국에서의 정식 명칭은 나그네쥐이지만 ' 레밍의 집단 자살'로 많이 알려져 영문명인 레밍으로 많이 알려져 있는 동물이다.1. 레밍계동물계문척삭동물문(Chordata)강포유강(Mammalia)목설치목(Rodentia)과비단털쥐과(Cricetidae)족레밍쥐족(Lemmini)햄스터와 비슷하게 생겼는데 햄스터도 비단털쥐과에 속... 2017.07.25 11:04 dailysciences
우주에서 우리의 위치 우리는 어디에 있을까?1. 개요영화 『스타워즈 에피소드 7: 깨어난 포스』에 보면 R2-D2와 BB-8이 각자 가지고 있는 지도를 하나로 합쳐 은하의 지도를 만들어내는 장면이 나온다. 맨처음에 인류는 당연히 지구가 우주의 중심에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이러한 패러다임을 가지고 있던 시절에는 "우리는 왜 존재할까... 2017.07.22 15:28 dailysciences
파놉티콘 파놉티콘Panopticon누군가가 감시를 하지 않아도 항상 감시를 받는 것 같은 그런 느낌적인 느낌.1. 개요공리주의로 유명한 제러미 벤담이 처음 생각해낸 원형 감옥.현대에 와선 의미가 확장되어 개인 정보가 속수무책으로 노출되는 거대한 정보사회의 감시체계를 의미하기도 한다. 감시사회를 이야기할때, 소설 『1984』에 등장... 2017.07.17 15:12 dream16
72의 법칙 - 복리의 마법 72의 법칙Rule of 72자산이 두 배로 늘어나는 데 걸리는 시간과 수익률을 구하는 공식1. 개요수학의 오묘한 성질이 드러나는 공식이다. 아인슈타인도 "복리는 가장 위대한 수학의 발견이다."라고 말했다고 한다.기본공식은 다음과 같다.72 ÷ 수익률 = 원금이 두 배가 되는 시기(년)72 ÷ 기간 = 연수익률복... 2017.07.14 14:34 dream16
카필라노 흔들다리 카필라노 흔들다리capilano suspension bridge캐나다 노스 벤쿠버에 있는 카필라노 강 위에 걸쳐져 있는 다리이다. 흔하디 흔한 이 다리가 유명해진 것은 다름아닌 '흔들다리 효과'가 탄생한 곳이기 때문이다.1. 개요3735 Capilano Rd, North Vancouver, BC V7R 4J1, Canad... 2017.07.13 17:20 dailysciences
베블런 효과 베블런 효과Veblen effect비쌀수록 잘 팔린다!1. 개요경제인이 '합리적'일때의 그래프(왼쪽)와 베블런 효과를 따를 때의 그래프(오른쪽)'합리적'이라고 가정할 경우, 가격이 비쌀수록 소비는 줄어들어야하나 실제로는 가격이 비싸질수록 소비가 늘어나게 된다.전통적인 경제학에서는 인간을 모두 합리적이라고 가정하고 경제적인... 2017.07.09 14:58 dream16
오컴의 면도날 오컴의 면도날Occam's RazorOckham's Razor같은 현상을 설명하는 두 개의 주장이 있다면, 간단한 쪽을 선택하라given two equally accurate theories, choose the one that is less complex1. 개요어떠한 현상을 설명하는데에는 다양한 해석 방법이 있는데 그... 2017.07.08 16:52 dailysciences
천국은 지옥보다 뜨겁다 천국은 지옥보다 뜨겁다Heaven is Hotter than Hell간혹가다 과학자들이 정신나간 계산을 하곤 하는데 이런 것이 대표적인 예이다.1. 개요이 주장은 1972년 발간된 《응용 광학Applied Optics》(11 A14)에 실려있었다. 이를 주장한 Tim Healy박사는 성경에서 그 근거를 찾았는데 이 계산 ... 2017.07.07 10:40 dream16
옥자와 GMO ※ 스포일러함유옥자Okja1. 개요옥자와 미자옥자는 2017년 6월 29일, 넷플렉스 및 일부 멀티플렉스관에서 개봉한 봉준호 감독의 신작이다.현재까지 좋은 평을 받으며 흥행 또한 순항중인데 동물을 소재로 한, 그것도 유전자 조작 슈퍼 돼지(...)를 전면에 내세운 작품이라 한국에서의 흥행 자체가 상당히 이례적인 편이다.&... 2017.07.04 11:01 dream16
파스칼의 내기 파스칼의 내기(Pascal's wager)신이 있느냐, 없느냐를 놓고 내기를 한다면 '신은 있다'에 거는 편이 언제나 유리하다.1. 개요흔히 '파스칼의 내기', 또는 조금 어려운 말로 '파스칼의 기독교 변증론'이라고 한다. 술자리에서 신의 존재 증명에 대한 내기를 한다면, 대체 왜? 파스칼의 내기를 기억하고 반드... 2017.07.04 10:46 dailysciences
날아다니는 스파게티 괴물 날아다니는 스파게티 괴물Flying Spagetti Monster a.k.a. FSM위의 그림에 나와있는 스파게티 괴물, 혹은 이 성스러운(?) 존재를 섬기는 종교.공식홈페이지(영어)공식홈페이지(한국지부)FMS 트위터(영어)종교의 창시자, Bobby Henderson의 트위터1. 개요FSM의 로고.FSM의 상징인 해적 물... 2017.06.28 10:39 dailysciences
테세우스의 배 역설 테세우스의 배 역설The ship of TheseusTheseus's paradox 배의 모든 요소가 교체되어도 여전히 같은 배인가?1. 개요테세우스의 배 역설은 플루타크의영웅전, 테세우스편에서 처음 언급되었다. 테세우스는 미노타우로스를 물리친 영웅으로 알려져 있다. 이 역설은 미노타우로스를 물리치고 테세우스가 배를 타고... 2017.06.27 14:03 dailysciences
야필패 - 상대편 야스오는 왜 항상 강할까? 야필패.야스오를 픽하면 반드시 패한다.야스오는 과학입니다.5충대장군 중 가장 나중에 나왔지만 가장 높은 악명을 자랑하는 충챔프계의 독보적 1인자이다.5충대장군.각각 탑, 정글, 미드, 원딜, 서포터를 맡고 있어서 실제 5충대장군파티도 가능하다.1. 야필패 / 야스오는 과학입니다.야스오는 2013년 12월 18일,... 2017.06.25 22:32 dailysciences
인류 원리 인류 원리anthropic principle인류 원리 또는 인간 중심 원리라고 한다. 가장 단순히 말하면 우주가 존재하는 이유는 이러한 질문을 던질 지적인 존재1가 우주에 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1. 인류 원리Brandon Carter, (1942 ~ )인류 원리라는 개념은 호주의 물리학자인 브랜던 카터가 1973년에 소... 2017.06.22 16:15 dailysciences
키를리안 사진 (feat. 영혼의 사진?) 키를리안 사진.흔히 영혼의 사진이라고 알려져 있다.1. 개요키를리안 사진이란 위와 같이 평소에 우리 눈에 보이지 않던 빛이 물체의 주변을 감싸고 있는 모습을 촬영한 사진이다. 다른 말로 Electrography라고도 하며 이러한 사진이 유사과학쪽으로 흘러들어가면서 영혼, 기, 오라(Aura)의 사진이 찍혔다는 말... 2017.06.20 19:52 dailysciences
몬데그린 현상 모든 것이 한국어가 된다!몬데그린이란 처음 듣는 외국어가 자신이 알고 있는 언어로 들리게 되는 현상을 말한다.최근 유행하는 몬데그린으로는 역시 류승룡 기모찌가 대표적이다.1. 개요의미를 알 수 없는 외국어의 전부 또는 일부가 듣는 사람의 모국어처럼 들리는 일종의 착각 현상을 말한다. 주로 새로운 정보(외국어의 음)를 기본... 2017.06.20 12:11 dailysciences
힐베르트의 호텔 힐베르트의 호텔.무한에 대해 얘기할 때 빠지지않고 등장하는 이상한 호텔.손님을 계속해서 옮겨대는 정말 끔찍한 호텔.1. 역사David Hilbert, (1862.1.23 ~ 1943.2.14)이름 그대로 힐베르트가 생각해낸 가상의 호텔이다. 독일인이라 데이비드 힐버트가 아니라 다비트 힐베르트라고 읽는다. 힐베르트... 2017.06.20 09:05 dailysciences
슈뢰딩거의 고양이 1. 개요과학역사 사상 가장 유명해진 가상의 고양이. 실제 고양이의 이름을 슈뢰딩거라고 짓는 사람도 많다고 한다!이름 그대로 에르빈 슈뢰딩거라는 사람이 제안했으며 머릿속에서 생각만으로 진행하는 '사고실험'이므로 불쌍한 고양이의 목숨의 걱정은 안해도 된다.에르빈 슈뢰딩거. 1887년 8월 12일 ~ 1961년 1월... 2017.06.20 09:00 dailysciences
떨어지는 고양이 문제 ※ 이 위키를 보고 고양이를 집어 던지면 안 된다!원숭이도 나무에서 떨어지듯 가끔 고양이도 실수할 수도 있다. 괜히 실험해보겠다고 길고양이나 애완 고양이를 떨어뜨리면 진짜 다칠 수도 있다!이 실험을 한 것은 1800년대 후반으로 고양이의 냥권은 물론 사람에 대한 인권도 없었던 시절... 2017.06.19 19:57 dailysciences
캠릿브지 대학의 연결구과 글자낚시.그런데도 잘 읽히는 기적.캠릿브지 대학의 연결구과 혹은캠브릿지 대학의 연구결과1. 개요Aoccdrnig to a rseearch taem at Cmabrigde Uinervtisy, it deosn't mttaer in waht oredr the ltteers in a wrod are, the olny iprmo... 2017.06.19 15:59 dailysciences
행성사냥꾼 행성사냥꾼Planet Hunters외계의 별의 주위를 도는 행성을 찾는 과학, 또는 그런 사람들.위의 그림은 Planet Hunters의 로고이다.1. 행성사냥꾼행성사냥꾼이란 인간의 눈으로 외계행성을 찾는 시민과학 프로젝트(citizen science project)이다. 별이 아니라 이미 알려져 있는 별에 딸린 행성을 ... 2017.06.17 13:39 dailysciences
'자유의지'의 존재에 관한 실험 살아가는 것은 수많은 선택의 연속이다. 오늘 점심은 무엇을 먹을까라는 비교적 간단한 선택부터 「매트릭스」의 네오처럼 모든 인류의 운명을 좌우할 하나의 선택같은 어려운 선택도 있다. 이러한 선택은 모두 내가 자유의지를 가지고 있다는 전제에서 출발하며 이 자유의지라는 것은 의심할 여지 없는 당연한 개념으로 여겨져 ... 2017.06.16 20:03 dailysciences
아인슈타인과 GPS 최근 한국에서 정식 개봉한 포켓몬GO!는 증강현실에다가 GPS기술을 접목시켜서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 있다. 그리고 전설의 포켓몬이 출현하는 곳이라든지 포켓스탑을 직접 찾아가지 않고도 방안에서 GPS조작을 통해 마치 그 위치에 있는 것처럼 꾸며내는 방법이 퍼지면서 많은 논란을 일으키고 있다.GPS의 원리는 무엇이며 어떻게 ... 2017.06.16 19:03 dailysciences
SETI@home SETI@home세티 앳 홈1. SETI프로젝트SETI프로젝트란 Search for Extra-Terrestrial Intelligence project의 약자로써 말 그대로 ‘지적’외계인을 찾는 프로젝트이다. 그렇다고 UFO사냥꾼이나 외계인에 납치당했다는 신빙성없는 주장과는 다르다. SETI프로젝트는 정말로 ‘진지한’ ... 2017.06.16 16:51 dailysciences
로봇 3원칙 로봇의 3원칙을 레고로 만든 것. 각각 1,2,3원칙을 잘 표현하고 있다.1. 로봇 3원칙제 1원칙로봇은 인간에 해를 가하거나, 혹은 행동을 하지 않음으로써 인간에게 해가 가도록 해서는 안 된다.A robot may not injure a human being or, through inaction, allow a huma... 2017.06.15 20:45 dailysciences
숫자 세기 feat.큰 숫자 빨리 읽는 팁 1. 수양(量)을 기술하기 위해 만든 수학적인 체계.수학을 배우기 위한 가장 기초 단계이다. 가장 간단한 자연수에서 시작하여 0과 음의 정수를 포함한 정수, 유리수, 무리수, 실수, 허수 등이 있으며 간단한 수체계의 집합관계는 다음과 같다.보통 사람들이 일상생활에서 다루는 수는 많이 쳐줘서 분수와 소수점을 쓰는 유리수정도... 2017.06.15 17:32 dailysciences
코끼리는 생각하지마 feat. 갑철수와 MB아바타 1. 코끼리는 생각하지마프레임 전쟁에서 흔히 사용하는 말이다. 이 말은 2004년 조지 레이코프(George Lakoff)가 쓴 『코끼리는 생각하지마: 미국의 진보세력은 왜 선거에서 패배하는가』1에서 처음 나왔다. 한국에서도 2006년에 번역, 출판되었고 개정판이 2015년에 다시 한 번 출간된 바 있다.말그대로 코끼리를... 2017.06.15 14:54 dailysciences
칵테일 파티 효과 칵테일 파티 효과Cocktail Party Effect각종 소음이 난무하는 시끄러운 곳에서도 자신이 관심있는 단어는 또렷히 들린다. 바로 칵테일 파티 효과라고 명명된 현상 때문이다.1. 칵테일 파티 효과1-1. 칵테일 파티장 혹은 시끄러운 장소시끄러운 칵테일 파티장을 상상해보자. 수많은 사람들이 모여 삼삼오오 무리지어 이... 2017.06.15 14:54 dailysciences
귀여운 공격성(Cute Aggression) 1. 개요귀여운 것을 보면 자신도 모르게 깨물어 주고 싶은 충동이 이는 상태. 이는 학계에서도 귀여운 공격성Cute Aggression이라는 심리학적 용어를 사용할 만큼 정상적인 충동이다.결론부터 말하자면 이런 충동이 일어나는 이유는 감정의 평형을 찾기 위해서라고 한다.귀여운 동물이나 아기를 봤을 때 우리 뇌는 과도하게 ... 2017.06.15 14:53 dailysci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