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창 새문서 최근바뀜 전체문서(184) 파일함 최근토론 위키톡 카테고리 편집 위키정보 운영자 dailysciences 개설일 16.06.02 위키타입 Open 테마 과학기술 총 편집자수 9 총 문서수 184
새문서 최근바뀜 전체문서(184) 파일함 최근토론 위키톡 Open Wiki 일상과학 WiKi 대문 개조된 문 실험 개조된 문 실험하기에 나오는 내용은 『생각하는 뇌, 생각하는 기계』의 【챕터5: 지능의 새로운 틀】에 수록되어 있는 내용이다. 본 위키의 모든 내용은 저자의 관점에서 서술했다.『생각하는 뇌, 생각하는 기계』원제 『ON INTELLIGENCE』제프 호킨스Jeff Hawkins & 샌드라 블레이크슬리Sandra Bla... 2017.06.15 14:52 dailysciences 초콜릿 매년 2월 14일이 되면 서로서로 초콜릿을 주고 받으며 달달한 사랑의 고백을 하곤 한다. 물론 죽창을 드는 이들도 있다. 이 날은 명실상부한 초콜릿 대목으로 이때의 초콜릿의 가격은 하늘 높은줄 모르고 치솟기도 한다. 1년 매출의 대부분을 차지할 정도로 2월 14일의 초콜릿 유통은 엄청나다.1. 카카오초콜... 2017.06.13 16:09 dailysciences 오버워치: '한조' 한조, 대기중.리그 오브 레전드에 티모가 있다면 오버워치에는 한조가 있다. 누군가 선택만 해도1 심신이 불안해지고 승리에 대한 확신이 줄어든다. 물론 한조장인과 함께라면 그 게임은 쉽게 풀리겠지만 대부분 그렇지 못한 것이 현실. 양궁 금메달의 나라답게 어떤 게임을 해도 꼭 한두명씩은 한조를 플레이하곤 ... 2017.06.13 16:04 dailysciences 신호등 신호등의 색은 세계 어딜가나 같은 색이다. 모양과 종류는 천차만별이라도 그 색만은 변하지 않는다. 그런데 왜 신호등의 색은 세계 어딜가나 같으며 왜 하필 빨간색은 멈춤을 표시하고 초록색은 가도 좋다는 의미를 가지게 되었을까.1. 신호등 색의 유래1-1. 빨간색자동차가 발명되기 이전 가장 빠르게 움직일 수 있는 운송수단은 ... 2017.06.13 16:01 dailysciences 컨택트(arrival) ※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으니 영화를 보고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애초에 영화를 안 보면 뭘 말하고 있는지 모릅니다! 어디까지나 영화에 등장하는 과학적 이론과 사실에 초점을 맞추었으므로 줄거리 및 영화에 대한 내용이 매우 적습니다. 2월 초에 생각을 많이 해야하는 SF 영화 하나가 개봉했다. 지... 2017.06.13 15:57 dailysciences 뫼비우스의 베이글 (feat. 치즈 많이 바르는 팁) 1. 뫼비우스의 띠Möbius strip기하학-위상수학에서 출현하는 띠.앞면과 뒷면이 하나로 이어져서 면이 하나밖에 존재하지 않는다. 이 오묘함에 비해 누구나 쉽게 만들 수 있는 구조로 되어있다. 단순히 긴 종이를 한 번만 꼬아 서로를 연결하면 뫼비우스의 띠가 된다.일반적인 고리와 뫼비우스의 띠, 그리고 두 번 꼬은 뫼비... 2017.06.12 16:31 dream16 자동제세동기 자동제세동기自動除細動器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k.a AED1. 개요심정지가 오거나 무호흡상태의 사람에게 사용하는 의료 기기. 공공시설 어디에서나 볼 수 있으며 설명서가 같이 동봉되어 있어 처음 사용하는 사람도 무리 없이 사용할 수 있게 해놓았다. 심폐소생술(CPR) 교육을 받지 않... 2017.06.10 16:23 dailysciences 코골이 1. 개요코골이, Snore: Snoring잠을 자는 도중 호흡을 위한 기도가 좁아지면서 각종 호흡기관을 진동시켜서 발생하는 소리. 이름만 코골이지 코 자체와는 그다지 관련이 없다. 원인은 개인별로 다양하여 꼭 무어라 집어서 말할 수가 없다. 한 가지가 원인일 수도, 복합적인 이유 때문일 수도 있다. 특히 최악의 경우에는... 2017.06.10 09:26 dailysciences 예방접종 1. 개요면역체계를 강화시키기 위해 항원물질을 체내에 주입하는 일. 주로 주사기로 많이 넣는다. 이 항원물질을 백신Vaccine이라고 하며 이것의 정체는 약화되어 있거나 죽은 병원균. 가끔씩 좀비 아포칼립스나 판데믹1사태를 다룬 창작물에서 백신을 무슨 만능치료제마냥 묘사하기도 하는데 백신으로는 이미 발병한 병은 치료가 불... 2017.06.10 09:26 dailysciences 의료 영상 장비 1. 개요의료 영상 장비란 의료목적으로 개발되어 인체의 내부를 영상화시켜 볼 수 있는 장비를 말하며 최초로 이용한 것은 X-ray를 이용한 기기이다. 현대에 와서는 MRI, fMRI, CT 등 많은 장비가 개발되어 있다. 이 모든 장비는 비파괴장비로써 직접 피부를 절개하지 않아도 몸 내부의 상태를 파악하는데 도움을 주고 ... 2017.06.10 09:25 dailysciences 대머리 승리의 대머리.jpg대머리가 대머리의 전화를 받고 대머리가 대머리의 컴퓨터를 해킹해서대머리가 데려온 아군이 대머리이고대머리가 대머리와 싸워서 대머리가 승리함feat. 분노의 질주 시리즈의도한 캐스팅의 냄새가 나는 분노의 질주 시리즈.세계 최강의 멋진 대머리들이 이곳저곳 다 부수고 다니는 영화. 하지만 또 하나의 액션 전문... 2017.06.10 09:25 dailysciences 중국어 방 역설 - 대체 누가 중국어를 이해하고 있는가? 중국어 방 역설.중국어 방 논증.존 설의 중국어 방.Chinese Room Argument.모라벡의 역설, 일라이자 효과와 함께 인공지능분야에서 다뤄지는 유명한 논증 중 하나. 존 설이 튜링 테스트1의 불완전성을 비판하기 위해 제안한 사고 실험이다. 설은 튜링테스트의 질문&답변 체계를 정면으로 반박하고 있... 2017.06.04 11:02 dailysciences 모라벡의 역설 - 어려운 것은 쉽고 쉬운 것은 어렵다. 모라벡의 역설Moravec's Paradox"지능 검사나 체스에서 어른 수준의 성능을 발휘하는 컴퓨터를 만들기는 상대적으로 쉬운 반면, 지각이나 이동 능력 면에서 한 살짜리 아기만 한 능력을 갖춘 컴퓨터를 만드는 일은 어렵거나 불가능하다."by Hans Moravec.일라이저 효과, 존 설의 중국어 방 논증과&n... 2017.06.01 10:48 dailysciences 머피의 법칙 1. 개요뭔가 마음대로 되지 않는 상황이나 재수 옴 붙은 날에는 꼭 이 법칙이 생각나기 마련이다. 머피의 법칙을 정확하게 한 문장으로 표현하자면 "잘못 될 수도 있는 일은 반드시 잘못된다. (If Anything Can Go Wrong, It Will)" 라는 것이다. 조금 길게 "어떤 일을 하는 데에는 여러 ... 2017.05.24 13:14 dailysciences 밈(meme) 밈.문화 유전자.1. 밈(meme)밈이란 문화 유전자라고도 한다. 어떠한 문화적 현상이 마치 살아있는 생물처럼 기능하며 사람들의 뇌를 숙주로 삼아 전달되는 모방 가능한 사회적 단위를 총칭하는 말이다.밈은 진화론vs종교 전쟁의 최전선에 서있는 리처드 도킨스가 1976년, 그의 유명한 저서 『이기적 유전자』에서 처음으로 사용... 2017.05.19 18:09 dailysciences 올베르스의 역설 - 밤은 왜 어두운가? 1. 낮과 밤1낮은 밝고 밤은 어둡다.1-1. 낮낮이 밝은 이유는 대부분 태양이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너무 당연해보이지만 이것은 지구에서만 그렇다. 낮에 하늘이 푸르게 보이는 이유는 대기의 산란 때문인데 태양에서 들어오는 빛 중, 청색광이 가장 산란이 많이되어 우리 눈에 들어오기 때문이다.그림과 같이 노을이 지는 시... 2017.05.08 13:39 dailysciences 달의 공전과 자전 1. 달지구의 위성.현재까지 인류가 방문한 유일한 천체.지구에서 대략 384,399 km떨어져 있다. 많은 경우, 지구와 달을 표현할 때 지구 바로 옆에 달이 있는 것 처럼 그리지만 실제로는 엄청나게 멀리 떨어져 있다. 아래의 그림을 본다면 대충 감이 올 것이다.지구와 달 사이에 태양계의 모든 행성들을 늘어놓아도... 2017.05.02 11:32 dailysciences 벤포드 법칙 - 조작이 어려운 이유 간단히 보자면이때 상용로그 log10에서 10은 생략한다.란 마술에 가까운 수학적 술수이다. 곱셈을 덧셈으로 만들어서 계산을 보다 쉽게 하거나 10의 10제곱과 같은 엄청나게 큰 스케일에서 그래프를 쉽게 그리도록 도움을 주기도 한다. 다만 이때문에 로그 스케일의 그래프를 볼때는 매우 조심해야 한다. 보통 10을 밑으로 하는 상용로그를 쓰기 때문에 로그스케일에서 각 비율은 10을 곱한 것을 의미한다.단순히 직선으로 된 그래프라고 해도 로그 스케일이라면 각 단위에 10을 곱해주면서 읽어야한다. 2단위가 곧 100배이고 3~4단위로 가면 1,000~10,000배의 스케일이 된다. 이 그래프를 일반 스케일로 그린다면 맨 아래에 있는 그래프는 알아 볼 수 없게 되므로 알아보기 쉽게 로그 스케일로 그리는 것.아래의 그래프는 레이 커즈와일의 『특이점이 온다』에 삽입되어있는 그래프로 로그 스케일의 무서움을 보여준다.제일 낮은 단위가 10이며 1010까지 커진다. 각 단위는 10씩 커지게 되며 마지막까지 가면 총 10,000,000,000배로 단위가 커지는 것. 10,000,000,000는 100억이다. 이것이 쉽게 읽혀지지 않으면이곳을 방문하자. 큰 수를 빠르게 읽는 팁에 대한 문서이다.상용로그가 10이 밑인 이유는 우리가 10진법을 쓰기 때문이지 별다른 이유는 없다. 2017.04.30 13:27 dailysciences 세이건 행성 거리 Sagan Planet walk 1. 개요Sagan Planet Walk위키피디아에 있는 세이건 행성 거리의 지도. 물론 구글맵을 참조한 것이다.이름 그대로 천문학자, 칼 세이건의 업적을 기려서 만든 거리이다.Carl Edward Sagan, 1934/11/9 ~ 1996/12/20천문학에 조금이라도 관심이 있는 사람이면 반드시 만나게... 2017.04.29 11:56 dailysciences 더 플랜 투표가 아니라 개표가 결정한다.1. 개요「파파이스」와 「김어준의 뉴스 공장」으로 유명한 김어준이 제작을 하고 최진성이 감독을 맡은 다큐멘터리 영화.프로젝트 不 3부작 중 첫번째로 개봉한 영화이며 현재 [김어준의 파파이스#141] 더 플랜에 풀영상이 공개가 되어있다. 파파이스 방송 도중 풀영상을 공개해서 더 플랜 영화 자체... 2017.04.20 16:04 dailysciences 무한 원숭이 정리 무한히 많은 원숭이가 무한히 많은 타자기를 무한한 시간에 걸쳐 치고 있다고 가정하자. 그렇다면 이 원숭이 중 하나는 언젠가 셰익스피어의 『햄릿』을 단 한 글자도 틀리지 않고 쳐낼 수 있을 것이다. 2017.04.18 17:14 dailysciences 통계학과 생명보험 출처 - 「경영학, 무엇을 말해야 하는가: 경영학 신화에 질문을 던지다」 by석승훈핼리의 생명표, Halley's Life table. 핼리 혜성으로 유명한 그 핼리가 만들었다. 2017.04.13 13:48 dailysciences 4차 산업혁명 "충분히 발달한 기술은 마법과 구분할 수 없다."-아서 C. 클라크, 과학 3법칙 中 3번째 법칙1. 개요말 그대로 4번째 산업 혁명. 정보통신기술이 이리저리 융합되어 이루어낸 혁명적인 시대. 기술의 발전이 이 혁명을 앞당기고 있으며 4차산업혁명의 핵심 기술은 인공지능, 로봇공학, 사물 인터넷, 자율주행, 3D프린팅, 나... 2017.04.12 12:13 dream16 무임승차자의 법칙 - 조별과제 잔혹사 혼자 당겼을 때의 힘을 100%라고 치면두 명은 각각 평균 93%세 명은 83%네 명이 당길 때는 77%이는 점점 하강하는 그래프를 그리다가 사람이 여덟 명이 되자 50%까지 떨어졌다. 2017.04.11 15:57 dream16 소화기 소화기消火器: 한국한자 및 일본어滅火器: 중국어, 끄는게(消) 아니라 멸(滅)한다고 한다. 멸화기. 아주 강력해보이는 어감이다.(...)Fire extinguisher1. 개요속에 들어있는 각종 소화제를 뿜어내 불을 끄거나 화재를 진압하는 도구. 요즘은 던지는 형태의 소화기도 있다. 소화기는 화재를 유발하는 3대 요소인 ... 2017.04.07 14:25 dailysciences 라이프(영화) ※ 스포일러를 담고 있습니다.※ GMT (Greenwich Mean Time)그리니치 천문대를 기준으로 한 시간 한국은 GMT +9:00이다.※ UTC (Universal Time Coordinated): 세계협정시.1972년 1월 1일부터 시행된 협정세계시에서는 1967년 국제도량형총회가 정한 세슘원자의 진동수에 따른 초의 길이가 그 기준으로 쓰인다. 원래는 태양시를 기준으로 1초가 정해졌으나 지구의 자전속도가 점점 느려진다는 것을 알아낸 뒤 보다 정확한 시간 측정을 위해 UTC가 도입되었다.또 기존 지구가 느려지는 것에 맞추기위해 1972년에 윤초라는 개념이 만들어져 세계시와의 오차를 0.9초 이내로 유지하기 위해 6월 30일이나 12월 31일의 최종 초를 뺌으로써 윤초를 하게 된다. 2017.04.06 15:37 dailysciences 음주운전 1. 개요"술은 마셨지만 음주 운전은 하지 않았다."술이나 기타 약물로 혈관 내에 알코올 성분이 있는 채로 운전을 하는 행위.도로교통법 제 44조 4항에 보면 음주 운전의 정의는 혈중 알코올 농도 0.05% 이상인 경우로 한다라고 정해져 있다. 하지만 이것은 술의 경우고, 약물의 경우에는 그냥 답이 없다. 무조건 안된다고... 2017.04.04 15:43 dailysciences 나비 효과 나비효과, Butterfly Effect1. 개요초기값의 미세한 차이로 인해 결과가 완전히 달라지는 현상을 지칭할 때 사용한다. 카오스 이론을 쉽게 설명할 때 주로 사용하는 말이며 일반 대중들에게는 "나비의 날개짓 한 번이 지구 반대편에선 폭풍을 일으킬 수 있다."라는 표현으로 널리 알려져있다. 2. 상세이 표현... 2017.03.31 15:34 dailysciences 공각기동대: 고스트 인 더 쉘 ※ 영화와 원작시리즈의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2017.03.31 00:07 dailysciences 구멍 뚫린 위장과 소화 실험 1. 실험은 어떻게 시작이 되었나? 1822년 6월 6일 정오, 미국과 캐나다 국경에 있는 매키낵 요새는 윌리엄 보몬트(William Beaumont, 1785.11.21 ~ 1853.4.25)와 알렉시스 생마르탱(Alexis Bidagan St. Mart... 2017.03.30 12:06 dailysciences
개조된 문 실험 개조된 문 실험하기에 나오는 내용은 『생각하는 뇌, 생각하는 기계』의 【챕터5: 지능의 새로운 틀】에 수록되어 있는 내용이다. 본 위키의 모든 내용은 저자의 관점에서 서술했다.『생각하는 뇌, 생각하는 기계』원제 『ON INTELLIGENCE』제프 호킨스Jeff Hawkins & 샌드라 블레이크슬리Sandra Bla... 2017.06.15 14:52 dailysciences
초콜릿 매년 2월 14일이 되면 서로서로 초콜릿을 주고 받으며 달달한 사랑의 고백을 하곤 한다. 물론 죽창을 드는 이들도 있다. 이 날은 명실상부한 초콜릿 대목으로 이때의 초콜릿의 가격은 하늘 높은줄 모르고 치솟기도 한다. 1년 매출의 대부분을 차지할 정도로 2월 14일의 초콜릿 유통은 엄청나다.1. 카카오초콜... 2017.06.13 16:09 dailysciences
오버워치: '한조' 한조, 대기중.리그 오브 레전드에 티모가 있다면 오버워치에는 한조가 있다. 누군가 선택만 해도1 심신이 불안해지고 승리에 대한 확신이 줄어든다. 물론 한조장인과 함께라면 그 게임은 쉽게 풀리겠지만 대부분 그렇지 못한 것이 현실. 양궁 금메달의 나라답게 어떤 게임을 해도 꼭 한두명씩은 한조를 플레이하곤 ... 2017.06.13 16:04 dailysciences
신호등 신호등의 색은 세계 어딜가나 같은 색이다. 모양과 종류는 천차만별이라도 그 색만은 변하지 않는다. 그런데 왜 신호등의 색은 세계 어딜가나 같으며 왜 하필 빨간색은 멈춤을 표시하고 초록색은 가도 좋다는 의미를 가지게 되었을까.1. 신호등 색의 유래1-1. 빨간색자동차가 발명되기 이전 가장 빠르게 움직일 수 있는 운송수단은 ... 2017.06.13 16:01 dailysciences
컨택트(arrival) ※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으니 영화를 보고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애초에 영화를 안 보면 뭘 말하고 있는지 모릅니다! 어디까지나 영화에 등장하는 과학적 이론과 사실에 초점을 맞추었으므로 줄거리 및 영화에 대한 내용이 매우 적습니다. 2월 초에 생각을 많이 해야하는 SF 영화 하나가 개봉했다. 지... 2017.06.13 15:57 dailysciences
뫼비우스의 베이글 (feat. 치즈 많이 바르는 팁) 1. 뫼비우스의 띠Möbius strip기하학-위상수학에서 출현하는 띠.앞면과 뒷면이 하나로 이어져서 면이 하나밖에 존재하지 않는다. 이 오묘함에 비해 누구나 쉽게 만들 수 있는 구조로 되어있다. 단순히 긴 종이를 한 번만 꼬아 서로를 연결하면 뫼비우스의 띠가 된다.일반적인 고리와 뫼비우스의 띠, 그리고 두 번 꼬은 뫼비... 2017.06.12 16:31 dream16
자동제세동기 자동제세동기自動除細動器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k.a AED1. 개요심정지가 오거나 무호흡상태의 사람에게 사용하는 의료 기기. 공공시설 어디에서나 볼 수 있으며 설명서가 같이 동봉되어 있어 처음 사용하는 사람도 무리 없이 사용할 수 있게 해놓았다. 심폐소생술(CPR) 교육을 받지 않... 2017.06.10 16:23 dailysciences
코골이 1. 개요코골이, Snore: Snoring잠을 자는 도중 호흡을 위한 기도가 좁아지면서 각종 호흡기관을 진동시켜서 발생하는 소리. 이름만 코골이지 코 자체와는 그다지 관련이 없다. 원인은 개인별로 다양하여 꼭 무어라 집어서 말할 수가 없다. 한 가지가 원인일 수도, 복합적인 이유 때문일 수도 있다. 특히 최악의 경우에는... 2017.06.10 09:26 dailysciences
예방접종 1. 개요면역체계를 강화시키기 위해 항원물질을 체내에 주입하는 일. 주로 주사기로 많이 넣는다. 이 항원물질을 백신Vaccine이라고 하며 이것의 정체는 약화되어 있거나 죽은 병원균. 가끔씩 좀비 아포칼립스나 판데믹1사태를 다룬 창작물에서 백신을 무슨 만능치료제마냥 묘사하기도 하는데 백신으로는 이미 발병한 병은 치료가 불... 2017.06.10 09:26 dailysciences
의료 영상 장비 1. 개요의료 영상 장비란 의료목적으로 개발되어 인체의 내부를 영상화시켜 볼 수 있는 장비를 말하며 최초로 이용한 것은 X-ray를 이용한 기기이다. 현대에 와서는 MRI, fMRI, CT 등 많은 장비가 개발되어 있다. 이 모든 장비는 비파괴장비로써 직접 피부를 절개하지 않아도 몸 내부의 상태를 파악하는데 도움을 주고 ... 2017.06.10 09:25 dailysciences
대머리 승리의 대머리.jpg대머리가 대머리의 전화를 받고 대머리가 대머리의 컴퓨터를 해킹해서대머리가 데려온 아군이 대머리이고대머리가 대머리와 싸워서 대머리가 승리함feat. 분노의 질주 시리즈의도한 캐스팅의 냄새가 나는 분노의 질주 시리즈.세계 최강의 멋진 대머리들이 이곳저곳 다 부수고 다니는 영화. 하지만 또 하나의 액션 전문... 2017.06.10 09:25 dailysciences
중국어 방 역설 - 대체 누가 중국어를 이해하고 있는가? 중국어 방 역설.중국어 방 논증.존 설의 중국어 방.Chinese Room Argument.모라벡의 역설, 일라이자 효과와 함께 인공지능분야에서 다뤄지는 유명한 논증 중 하나. 존 설이 튜링 테스트1의 불완전성을 비판하기 위해 제안한 사고 실험이다. 설은 튜링테스트의 질문&답변 체계를 정면으로 반박하고 있... 2017.06.04 11:02 dailysciences
모라벡의 역설 - 어려운 것은 쉽고 쉬운 것은 어렵다. 모라벡의 역설Moravec's Paradox"지능 검사나 체스에서 어른 수준의 성능을 발휘하는 컴퓨터를 만들기는 상대적으로 쉬운 반면, 지각이나 이동 능력 면에서 한 살짜리 아기만 한 능력을 갖춘 컴퓨터를 만드는 일은 어렵거나 불가능하다."by Hans Moravec.일라이저 효과, 존 설의 중국어 방 논증과&n... 2017.06.01 10:48 dailysciences
머피의 법칙 1. 개요뭔가 마음대로 되지 않는 상황이나 재수 옴 붙은 날에는 꼭 이 법칙이 생각나기 마련이다. 머피의 법칙을 정확하게 한 문장으로 표현하자면 "잘못 될 수도 있는 일은 반드시 잘못된다. (If Anything Can Go Wrong, It Will)" 라는 것이다. 조금 길게 "어떤 일을 하는 데에는 여러 ... 2017.05.24 13:14 dailysciences
밈(meme) 밈.문화 유전자.1. 밈(meme)밈이란 문화 유전자라고도 한다. 어떠한 문화적 현상이 마치 살아있는 생물처럼 기능하며 사람들의 뇌를 숙주로 삼아 전달되는 모방 가능한 사회적 단위를 총칭하는 말이다.밈은 진화론vs종교 전쟁의 최전선에 서있는 리처드 도킨스가 1976년, 그의 유명한 저서 『이기적 유전자』에서 처음으로 사용... 2017.05.19 18:09 dailysciences
올베르스의 역설 - 밤은 왜 어두운가? 1. 낮과 밤1낮은 밝고 밤은 어둡다.1-1. 낮낮이 밝은 이유는 대부분 태양이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너무 당연해보이지만 이것은 지구에서만 그렇다. 낮에 하늘이 푸르게 보이는 이유는 대기의 산란 때문인데 태양에서 들어오는 빛 중, 청색광이 가장 산란이 많이되어 우리 눈에 들어오기 때문이다.그림과 같이 노을이 지는 시... 2017.05.08 13:39 dailysciences
달의 공전과 자전 1. 달지구의 위성.현재까지 인류가 방문한 유일한 천체.지구에서 대략 384,399 km떨어져 있다. 많은 경우, 지구와 달을 표현할 때 지구 바로 옆에 달이 있는 것 처럼 그리지만 실제로는 엄청나게 멀리 떨어져 있다. 아래의 그림을 본다면 대충 감이 올 것이다.지구와 달 사이에 태양계의 모든 행성들을 늘어놓아도... 2017.05.02 11:32 dailysciences
벤포드 법칙 - 조작이 어려운 이유 간단히 보자면이때 상용로그 log10에서 10은 생략한다.란 마술에 가까운 수학적 술수이다. 곱셈을 덧셈으로 만들어서 계산을 보다 쉽게 하거나 10의 10제곱과 같은 엄청나게 큰 스케일에서 그래프를 쉽게 그리도록 도움을 주기도 한다. 다만 이때문에 로그 스케일의 그래프를 볼때는 매우 조심해야 한다. 보통 10을 밑으로 하는 상용로그를 쓰기 때문에 로그스케일에서 각 비율은 10을 곱한 것을 의미한다.단순히 직선으로 된 그래프라고 해도 로그 스케일이라면 각 단위에 10을 곱해주면서 읽어야한다. 2단위가 곧 100배이고 3~4단위로 가면 1,000~10,000배의 스케일이 된다. 이 그래프를 일반 스케일로 그린다면 맨 아래에 있는 그래프는 알아 볼 수 없게 되므로 알아보기 쉽게 로그 스케일로 그리는 것.아래의 그래프는 레이 커즈와일의 『특이점이 온다』에 삽입되어있는 그래프로 로그 스케일의 무서움을 보여준다.제일 낮은 단위가 10이며 1010까지 커진다. 각 단위는 10씩 커지게 되며 마지막까지 가면 총 10,000,000,000배로 단위가 커지는 것. 10,000,000,000는 100억이다. 이것이 쉽게 읽혀지지 않으면이곳을 방문하자. 큰 수를 빠르게 읽는 팁에 대한 문서이다.상용로그가 10이 밑인 이유는 우리가 10진법을 쓰기 때문이지 별다른 이유는 없다. 2017.04.30 13:27 dailysciences
세이건 행성 거리 Sagan Planet walk 1. 개요Sagan Planet Walk위키피디아에 있는 세이건 행성 거리의 지도. 물론 구글맵을 참조한 것이다.이름 그대로 천문학자, 칼 세이건의 업적을 기려서 만든 거리이다.Carl Edward Sagan, 1934/11/9 ~ 1996/12/20천문학에 조금이라도 관심이 있는 사람이면 반드시 만나게... 2017.04.29 11:56 dailysciences
더 플랜 투표가 아니라 개표가 결정한다.1. 개요「파파이스」와 「김어준의 뉴스 공장」으로 유명한 김어준이 제작을 하고 최진성이 감독을 맡은 다큐멘터리 영화.프로젝트 不 3부작 중 첫번째로 개봉한 영화이며 현재 [김어준의 파파이스#141] 더 플랜에 풀영상이 공개가 되어있다. 파파이스 방송 도중 풀영상을 공개해서 더 플랜 영화 자체... 2017.04.20 16:04 dailysciences
무한 원숭이 정리 무한히 많은 원숭이가 무한히 많은 타자기를 무한한 시간에 걸쳐 치고 있다고 가정하자. 그렇다면 이 원숭이 중 하나는 언젠가 셰익스피어의 『햄릿』을 단 한 글자도 틀리지 않고 쳐낼 수 있을 것이다. 2017.04.18 17:14 dailysciences
통계학과 생명보험 출처 - 「경영학, 무엇을 말해야 하는가: 경영학 신화에 질문을 던지다」 by석승훈핼리의 생명표, Halley's Life table. 핼리 혜성으로 유명한 그 핼리가 만들었다. 2017.04.13 13:48 dailysciences
4차 산업혁명 "충분히 발달한 기술은 마법과 구분할 수 없다."-아서 C. 클라크, 과학 3법칙 中 3번째 법칙1. 개요말 그대로 4번째 산업 혁명. 정보통신기술이 이리저리 융합되어 이루어낸 혁명적인 시대. 기술의 발전이 이 혁명을 앞당기고 있으며 4차산업혁명의 핵심 기술은 인공지능, 로봇공학, 사물 인터넷, 자율주행, 3D프린팅, 나... 2017.04.12 12:13 dream16
무임승차자의 법칙 - 조별과제 잔혹사 혼자 당겼을 때의 힘을 100%라고 치면두 명은 각각 평균 93%세 명은 83%네 명이 당길 때는 77%이는 점점 하강하는 그래프를 그리다가 사람이 여덟 명이 되자 50%까지 떨어졌다. 2017.04.11 15:57 dream16
소화기 소화기消火器: 한국한자 및 일본어滅火器: 중국어, 끄는게(消) 아니라 멸(滅)한다고 한다. 멸화기. 아주 강력해보이는 어감이다.(...)Fire extinguisher1. 개요속에 들어있는 각종 소화제를 뿜어내 불을 끄거나 화재를 진압하는 도구. 요즘은 던지는 형태의 소화기도 있다. 소화기는 화재를 유발하는 3대 요소인 ... 2017.04.07 14:25 dailysciences
라이프(영화) ※ 스포일러를 담고 있습니다.※ GMT (Greenwich Mean Time)그리니치 천문대를 기준으로 한 시간 한국은 GMT +9:00이다.※ UTC (Universal Time Coordinated): 세계협정시.1972년 1월 1일부터 시행된 협정세계시에서는 1967년 국제도량형총회가 정한 세슘원자의 진동수에 따른 초의 길이가 그 기준으로 쓰인다. 원래는 태양시를 기준으로 1초가 정해졌으나 지구의 자전속도가 점점 느려진다는 것을 알아낸 뒤 보다 정확한 시간 측정을 위해 UTC가 도입되었다.또 기존 지구가 느려지는 것에 맞추기위해 1972년에 윤초라는 개념이 만들어져 세계시와의 오차를 0.9초 이내로 유지하기 위해 6월 30일이나 12월 31일의 최종 초를 뺌으로써 윤초를 하게 된다. 2017.04.06 15:37 dailysciences
음주운전 1. 개요"술은 마셨지만 음주 운전은 하지 않았다."술이나 기타 약물로 혈관 내에 알코올 성분이 있는 채로 운전을 하는 행위.도로교통법 제 44조 4항에 보면 음주 운전의 정의는 혈중 알코올 농도 0.05% 이상인 경우로 한다라고 정해져 있다. 하지만 이것은 술의 경우고, 약물의 경우에는 그냥 답이 없다. 무조건 안된다고... 2017.04.04 15:43 dailysciences
나비 효과 나비효과, Butterfly Effect1. 개요초기값의 미세한 차이로 인해 결과가 완전히 달라지는 현상을 지칭할 때 사용한다. 카오스 이론을 쉽게 설명할 때 주로 사용하는 말이며 일반 대중들에게는 "나비의 날개짓 한 번이 지구 반대편에선 폭풍을 일으킬 수 있다."라는 표현으로 널리 알려져있다. 2. 상세이 표현... 2017.03.31 15:34 dailysciences
구멍 뚫린 위장과 소화 실험 1. 실험은 어떻게 시작이 되었나? 1822년 6월 6일 정오, 미국과 캐나다 국경에 있는 매키낵 요새는 윌리엄 보몬트(William Beaumont, 1785.11.21 ~ 1853.4.25)와 알렉시스 생마르탱(Alexis Bidagan St. Mart... 2017.03.30 12:06 dailysci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