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창 새문서 최근바뀜 전체문서(184) 파일함 최근토론 위키톡 카테고리 편집 위키정보 운영자 dailysciences 개설일 16.06.02 위키타입 Open 테마 과학기술 총 편집자수 9 총 문서수 184
새문서 최근바뀜 전체문서(184) 파일함 최근토론 위키톡 Open Wiki 일상과학 WiKi 대문 수질오염 1. 개요주로 인간의 활동으로 인해 강이나 바다 등 수질에 악형향을 미치는 것. 물론 자연적인 영향도 일부 존재하지만 현재로써는 인간에 의한 오염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가장 일반적으로 공장에서 나오는 폐수를 들 수 있으며 이밖에도 각종 쓰레기를 투척한다거나 유전이나 유조선의 문제로 인한 기름 유출사고, 원전사고... 2017.03.28 19:06 dailysciences 대기오염과 미세먼지 1. 개요대기 중에 인체에 유해한 물질이 많이 포함되어 있을 때 이를 ‘대기가 오염되었다.’라고 표현한다. 방사능에 오염된 지역은 안 가면 되고 물은 사먹으면 되지만 대기가 오염되면 숨을 안 쉴 수도 없고 답이 없다.특히나 대기오염이 심한 중국에선 공기도 판매하고 있다!캐나다의 로키산맥에서 가져온 신선한 공기라고 한다. ... 2017.03.25 08:05 dailysciences 선박 인양 1. 개요좌초, 침몰되어 있는 배를 뭍으로 끌어올리는 일.제일 먼저 정확한 위치를 찾는 일부터 시작하며 선박의 제원을 고려하여 적합한 인양방식을 생각하게 된다.전세계적으로 인양된 배 중에서는 단연 타이타닉호가 가장 유명하다. 1912년 당시, 타이타닉호는 당시 3천8백m의 수심에 침몰해 있었다. 이 비극적인 사고... 2017.03.23 11:59 dailysciences 배터리와 충전 1. 충전 & 충전기전지에 에너지를 축적하는 것. 전류를 이용해 2차 장치에 에너지를 주입하는 장비. 선 없이 동작하는 모든 전자장비를 돌리는데 필요한 일이다. 현대인의 필수품이 되어버린 스마트폰은 성능 외에도 충전&방전속도와 배터리용량으로 평가를 하는 것이 필수평가요소로 자리잡아 각 회... 2017.03.16 22:32 dailysciences 사드(THAAD) 1. 제원종류탄도탄 요격 유도탄국가미국역사사용국가미국개발록히드 마틴개발년도1987년생산년도2008년~현재가격발사대 1조5천억 이상, 미사일 한 대 110억원1 생산개수요격기 24대 (첫 배치)제원중량900kg (발사중량)길이6.17m지름0.34m작전반경200km최고속도마하 8.2 (2.8km/s)최대고도150km... 2017.03.07 18:19 dream16 로건 ※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으니 영화를 보고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어디까지나 영화에 등장하는 과학적 이론과 사실에 초점을 맞추었으므로 줄거리 및 영화에 대한 내용이 매우 적습니다. 또 하기에 서술된 내용은 모두 실사 영화를 기준으로 하며 원작코믹스와는 다른 내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2017.03.02 19:59 dailysciences 포탈 (게임) 무한 불가능 확률 추진무한 불가능 확률추진은 항성간의 거리를 몇 초 안에 왔다갔다 할 수 있는, 지루하게 초공간을 이동하는 것보다 더 좋은 방법이다. 무한 불가능 확률 추진은 무한 불가능 확률에 도달하면, 거의 동시에 생각할 수 있는 우주에 있는 생각할 수 있는 점들을 지나게 된다. 다른말로, 당신은 끝내는거나, 당신이 거기 도착할때조차 당신은 확신할 수가 없다. 무한 불가능 확률 추진은 파티의 여흥을 돋우기 위해서 여주인의 속옷을 한발 옆으로 뛰게 만드는 불가능 확률 연구에 뒤따라서 나왔다. 많은 저명한 물리학자는 과학에 대한 모독이라며 참을 수 없어했다. 그러나 매우 중요한 이유는 그들이 그런 파티에 초대 받지 못했기 때문이다. 2017.02.24 16:57 dailysciences 루시드 드림(영화) ※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으니 영화를 보고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어디까지나 영화에 등장하는 과학적 이론과 사실에 초점을 맞추었으므로 줄거리 및 영화에 대한 내용이 매우 적습니다.※ 매트릭스(1999)의 스포일러가 있으니 아직(도(!)) 이영화를 보지 못한 사람은 이 파트는 읽지 말기를 권한다.※롤주의좀더 디테일하게 말하자면 서울에 살고 있는 A의 리 신이 부산에 살고 있는 B의 루시안에게 Q를 맞췄다. 킬각을 본 리 신은 그대로 Q를 한번 더 눌러 루시안에게 돌진한다. 그리고 루시안은 리 신이 자신에게 오자마자 E를 써서 자신의 진영으로 도망간다. 리 신은 와드+W를 쓰며 궁으로 루시안을 배달하려 했으나 루시안은 리 신의 W를보고는 동시에 점멸까지 써버린다. 이에 따라 배달은 실패하고 리 신은 때마침 튀어나온 리산드라의 궁에 얼어 붙는다! 인섹이 되고픈 브론즈여.이때 모든 그래픽은 개인의 컴퓨터에서 처리된다. 하지만 각 캐릭터의 행위가 일으킨 신호는 중앙서버에 전송되어 모든 상황이 10명에게 동일하게 돌아가게 된다. 리 신이 Q를 쓰면 이에 따라발생한 전기 신호는 랜선을 타고 중앙서버에 흘러가게 된다.중앙서버는 나머지 9명의 컴퓨터에게 리 신이 Q를 사용했다는 신호를 보내서 그것을 인지한 컴퓨터 9대와 리 신의 컴퓨터 1대, 총 10대의 컴퓨터가 같은 그래픽을 보여주게 되는 것이다. 보통 응답속도가 10ms1 이내이므로 우리는 거의 동시에 일어났다고 여기게 된다. 북미섭이나 PBE서버에서 응답속도가 130ms정도로 올라가게 되면 흔히 '렉이 걸렸다.'라고 표현하며 캐릭터의 움직임이 툭툭 끊기게 된다.이때 서울과 부산이라는 거리가 있지만 이는 '거의' 동시에 이루어지며 이런 상황에서 아무도 A의 소환사의 협곡에 B가 들어갔다고는 표현하지 않는다. 2017.02.23 22:41 dailysciences 케빈 베이컨 게임 헐리우드 영화배우 중에 케빈 베이컨이라는 사람이 있다. 그리고 이 사람이 개발한 것은 아니지만 케빈 베이컨 게임이라는 재미있는 수학적 놀이도 있다. 개발과정(?)에 전혀 참여하지도 않은 게임에 왜 이 사람의 이름이 붙었으며 이 게임은 뭐하는 게임일까? 1. 개요 케빈 베이컨 게임은 ... 2017.02.22 18:50 dailysciences 자각몽 연구 영화 「인셉션」은 꿈 속의 세계를 거대한 스케일로 표현했다. 이 영화의 핵심 키워드는 꿈 속의 꿈인 '몽중몽'과 꿈인 것을 알고 꾸는 '자각몽'이며 이 두 가지의 꿈은 실제로 가능하다. 그러나 타인의 생각을 빼오거나(디셉션) 특정한 생각을 심는(인셉션) 등의 기술이라던지, 모두가 함께 같은 꿈을 꾸는 일명 '공유몽'은 아직 불가능한 것이다. 2017.02.22 17:43 dailysciences 정신 병원에서 제정신으로 지내기 1962년에 켄 키지가 내놓은 소설 「뻐꾸기 둥지 위로 날아간 새」를 기억하는 사람이 있을 것이다. 감옥에 가는 것을 피하기 위해 정신병원에 입원한 사람의 이야기인데 이 소설처럼 일부러 정신병원에 입원한 8명의 사람들이 있었다. 물론 과학적인 실험을 위해. 1. 개요 이 실험은 스탠... 2017.02.21 21:07 dailysciences 바나나 껍질은 왜 미끄러울까? 바나나 껍질은 미끄럽다. 이 당연한 사실은 많은 사람에게 영향을 주었다. 그리하여 바나나껍질은 각종 매체 전반에서 개그씬에 특화된 아이템으로 등장하기도 한다. 이 바나나껍질이 개그 소재로 쓰인 것은 1900년 초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빌리 왓슨이라는 사람이 그 최초로 알려져있다. 이 사람 이후에 무성영화... 2017.02.21 21:06 dailysciences 헬리코박터 프로젝트 광고 좀 봤다고 하는 사람들은 헬리코박터 프로젝트라고 하며 나온 이 제품을 기억할 것이다. 그런데 왜 하필 헬리코박터 프로젝트이며 왜 이러한 이름을 지었는지 이제는 사람들의 기억속에서 서서히 잊혀지고 있다.뭔가 광고같지만 이 제품은 헬리코박터 파일로리라고 하는 균에 대항할 수 있다고 한다. 이 세균이 발견된 것은 정말 최... 2017.02.21 21:06 dailysciences 거꾸로 안경 이것은 실제로 판매하고 있는 안경이다. 일명 Reversing Goggles, 혹은 Upside Down Glasses라고 하는데 말그대로 이것을 쓰면 위아래가 거꾸로 보인다. 지금은 재미있는 장난감 정도로 여겨지고 있지만 1896년에 이것을 만들어 쓰고 거꾸로 세상에 노출된 자신의 뇌를 연구한 한 과학자가 있었... 2017.02.21 21:06 dailysciences 감기는 추워서 걸리는가? 정말 추위로 감기에 걸리는 것이라면 잭은 죽기 직전까지 심하게 앓았을 것이다. 얼든 말든 신경 쓰지 않는 로즈는 덤.Sir. Christopher H. Andrew. 영국의 바이러스 학자로 1933년에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를 발견한 사람이다. 2017.02.21 21:06 dailysciences 사고 실험이란? 1. 사고 실험.사고 실험(思考實驗 Thought Experiment) 현실에서 불가능한 일들을 머리 속으로 상상해 보는 실험. 독일에서 유래된 용어이며 독일어로는 Gedankenexperiment (게당켄엑스페리멘트)라고 한다. 기록으로 남아있는 최초의 사고 실험은 고대 그리스 시... 2017.02.21 21:05 dailysciences 마찰과 관성 이 사고 실험은 갈릴레오 갈릴레이가 행한 것으로 물리학 교과서에 관성을 다루는 파트에서 자주 나오는 유명한 실험이다.먼저 마찰이 없는 빗면을 가정한다. 마찰이 없는 빗면이란 존재하지 않으므로 당연히 상상을 통한 사고 실험을 할 수 밖에 없다. O지점에서 굴러간 공은 빗면의 모양에 따라 A, B, C 지점에 가서 ... 2017.02.21 21:05 dailysciences 파블로프의 개 과학에 관심 있는 사람은 물론, 전혀 관심 없는 사람도 한 번쯤은 들어봤을 「파블로프의 개」로 유명한 실험이다. VS 실험으로 「파블로프의 개 vs 슈뢰딩거의 고양이」가 있다. 정확한 용어는 「고전적 조건 형성 실험」이라고 하며 파블로프란 사람이 개를 이용해 실험을 했다고 해서 간단히&nbs... 2017.02.21 21:05 dailysciences 원숭이 애착 실험 "사람은 밥만으로는 살 수 없다" 라는 말이 있다. 물론 목숨을 연명하는 것을 사는 것이라고 정의한다면 밥만으로도 살 수 있겠지만 누구도 그러한 것을 '산다'라고는 하지 않는다. 이것은 비단 동물에게도 마찬가지로 적용되는 것으로 갇혀 지내는 새나 기타 애완동물들의 수명이 짧은 것도 그들이 밥만으로는 살 수 없기 때문이다.... 2017.02.21 21:04 dailysciences 복제양 돌리 1997년 2월 27일자 발간된 NATURE지의 표지를 장식하고 있는 돌리.세상에서 가장 유명한 동물은 여럿 있지만 그 중 인간이 인위적으로 만들어낸 동물 중엔 단연 복제된 양 한 마리가 가장 유명할 것이다. 돌리는 최초로 복제된 동물은 아니며 1902년 스위스의 스페만이 도룡뇽을 복제했던 것을 최초의 복제 실험으로 보고... 2017.02.21 21:04 dailysciences 델가도 투우 - 소의 뇌를 조작한 투우 실험 투우는 스페인이 속한 이베리아 반도의 명물 경기 중 하나이다. 최근에 와서는 위험하기도 하고 동물학대 논란이 있기도 했지만 여전히 스페인하면 투우가 떠오르기 마련이다. 그리고 투우의 나라라는 명성에 걸맞게 스페인의 한 신경과학자가 투우를 이용한 실험을 하나 진행하였다. 1. 개요투우하고는 거리가 먼 이 과학자의 ... 2017.02.21 21:00 dailysciences 폭스 강연 실험 - 권위와 헛소리에 대하여 아인슈타인은 누구나 알고 있는 유명한 과학자 중 한 사람이다. 그런 그에게 대학생을 상대로 강연을 시켰는데 말도 안되지만 그럴듯한 헛소리만 반복한다고 가정해보자. 그럼 그 강의실의 누군가가 아인슈타인에게 '개소리하지 말라'고 지적할까? 아니면 강의가 끝난 뒤에 훌륭한 강연이었다며 칭찬을 아끼지 않을까? ... 2017.02.21 20:59 dailysciences 밀그램의 복종 실험 1. 심리 실험계의 양대 산맥 과학이나 심리학에 별다른 관심을 가지지 않아도 한 번쯤은 투톱을 달리는 두 실험을 들어는 보았을 것이다. 둘 다 수많은 논란거리를 남겼으며 사회에 커다란 충격을 던져 주었다. 1961년 예일대학교 조교수였던 스탠리 밀그램이 했던 일명 '밀그램의 복종 실험'이라... 2017.02.21 20:59 dailysciences 목격자의 진술은 믿을만한가? 1. 개요 1901년 12월 4일 독일 베를린 대학에서 프란츠 폰 리스트 교수가 프랑스의 법학자 가브리엘 타르드의 이론에 대한 소개를 막 끝냈을 때였다. 갑자기 두 여학생이 언쟁을 시작하더니 급기야는 한 사람이 권총을 빼 들고 상대방의 이마에 총구를 갖다 댔다. 이 모습을 본 교수가 급히 ... 2017.02.21 20:59 dailysciences 최초로 우주를 비행한 동물 <라이카의 모습> 인간보다 먼저 우주를 비행한 동물이 있었다. 소련의 라이카라는 개가 그 주인공인데 '생물체가 우주에 적응할 수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한 실험이었다. 1. 개요 2차 세계대전이 끝나고 세계는 미국과 소련이 주도한 냉전 시대로 접어들게 ... 2017.02.21 20:59 dailysciences 오로라의 아버지 Aurora on March 24, 2014 near Fairbanks, Alaska. Credit and copyright: John Chumack. 극지방 근처에서 나타나는 빛의 무도회 오로라. 오로라의 생성원인을 규명하고 실험실에서 직접 오로라를 만들어낸 사람이 있다. 그의 이름은 크리스티앙 올라프... 2017.02.21 20:58 dailysciences 아폴로 15호의 낙하실험 1. 아폴로 15호 냉전 시대, 소련과의 무한 경쟁 속에 탄생한 아폴로 계획, 그 15번째 프로젝트. (유인 우주선으로는 9번째 미션) 1971년 7월 26일 13시 34분 00초(UTC)에 발사하여 동년 동월 30일 22시 16분 29초(UTC)에 착륙, 동년 8월 7일 20시... 2017.02.21 20:58 dailysciences 세상의 크기를 잰 사람 1. 세상 세상은 받아들이는 사람에 따라 그 크기가 천차만별이다. 어딘가에서는 두 원수가 하필이면 외나무다리에서 만나기도 하고, 날을 잡고 만나지 않으면 서로 마주칠 수도 없는 그런 세계에서 우리는 살고 있다. 이러한 들쑥날쑥한 세계의 크기를 최초로 정량적으로 측정한 사람이 있었다. 그것도 이천년도 더 전에.&... 2017.02.21 20:58 dailysciences 몽골피에 형제의 기구 최초로 하늘을 난 사람은 누구냐 하고 물어보면 보통 그 유명한 라이트형제가 반사적으로 튀어나오겠지만 그 이전엔 몽골피에 형제의 기구가 있었다. 또 몽골피에와 라이트 형제 사이에 독일의 오토 릴리엔탈이라는 사람이 무동력 글라이더를 만들어 하늘을 난 기록을 갖고 있다.즉, 인간이 하늘을 날아다닌 비행기구의 역사를 훑어보면 몽... 2017.02.21 20:57 dailysciences 화이트코트 작전 - 현대적인 생물무기의 시작 모든 것을 다 쏟아부어야 하는 전쟁사에서 다양한 무기가 등장했지만 그 중 생물학 무기는 꽤 옛날부터 그 위력을 발휘한 무기 중 하나였다. 가장 대표적으로 사용된 무기는 페스트(=흑사병)를 이용한 것으로 1347년 킵차크 칸국이 유럽을 공격할 때 페스트에 걸려 죽은 병사의 시체를 투석기로 성안으로 쏘아보낸 것이 그... 2017.02.21 20:57 dailysciences
수질오염 1. 개요주로 인간의 활동으로 인해 강이나 바다 등 수질에 악형향을 미치는 것. 물론 자연적인 영향도 일부 존재하지만 현재로써는 인간에 의한 오염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가장 일반적으로 공장에서 나오는 폐수를 들 수 있으며 이밖에도 각종 쓰레기를 투척한다거나 유전이나 유조선의 문제로 인한 기름 유출사고, 원전사고... 2017.03.28 19:06 dailysciences
대기오염과 미세먼지 1. 개요대기 중에 인체에 유해한 물질이 많이 포함되어 있을 때 이를 ‘대기가 오염되었다.’라고 표현한다. 방사능에 오염된 지역은 안 가면 되고 물은 사먹으면 되지만 대기가 오염되면 숨을 안 쉴 수도 없고 답이 없다.특히나 대기오염이 심한 중국에선 공기도 판매하고 있다!캐나다의 로키산맥에서 가져온 신선한 공기라고 한다. ... 2017.03.25 08:05 dailysciences
선박 인양 1. 개요좌초, 침몰되어 있는 배를 뭍으로 끌어올리는 일.제일 먼저 정확한 위치를 찾는 일부터 시작하며 선박의 제원을 고려하여 적합한 인양방식을 생각하게 된다.전세계적으로 인양된 배 중에서는 단연 타이타닉호가 가장 유명하다. 1912년 당시, 타이타닉호는 당시 3천8백m의 수심에 침몰해 있었다. 이 비극적인 사고... 2017.03.23 11:59 dailysciences
배터리와 충전 1. 충전 & 충전기전지에 에너지를 축적하는 것. 전류를 이용해 2차 장치에 에너지를 주입하는 장비. 선 없이 동작하는 모든 전자장비를 돌리는데 필요한 일이다. 현대인의 필수품이 되어버린 스마트폰은 성능 외에도 충전&방전속도와 배터리용량으로 평가를 하는 것이 필수평가요소로 자리잡아 각 회... 2017.03.16 22:32 dailysciences
사드(THAAD) 1. 제원종류탄도탄 요격 유도탄국가미국역사사용국가미국개발록히드 마틴개발년도1987년생산년도2008년~현재가격발사대 1조5천억 이상, 미사일 한 대 110억원1 생산개수요격기 24대 (첫 배치)제원중량900kg (발사중량)길이6.17m지름0.34m작전반경200km최고속도마하 8.2 (2.8km/s)최대고도150km... 2017.03.07 18:19 dream16
로건 ※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으니 영화를 보고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어디까지나 영화에 등장하는 과학적 이론과 사실에 초점을 맞추었으므로 줄거리 및 영화에 대한 내용이 매우 적습니다. 또 하기에 서술된 내용은 모두 실사 영화를 기준으로 하며 원작코믹스와는 다른 내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2017.03.02 19:59 dailysciences
포탈 (게임) 무한 불가능 확률 추진무한 불가능 확률추진은 항성간의 거리를 몇 초 안에 왔다갔다 할 수 있는, 지루하게 초공간을 이동하는 것보다 더 좋은 방법이다. 무한 불가능 확률 추진은 무한 불가능 확률에 도달하면, 거의 동시에 생각할 수 있는 우주에 있는 생각할 수 있는 점들을 지나게 된다. 다른말로, 당신은 끝내는거나, 당신이 거기 도착할때조차 당신은 확신할 수가 없다. 무한 불가능 확률 추진은 파티의 여흥을 돋우기 위해서 여주인의 속옷을 한발 옆으로 뛰게 만드는 불가능 확률 연구에 뒤따라서 나왔다. 많은 저명한 물리학자는 과학에 대한 모독이라며 참을 수 없어했다. 그러나 매우 중요한 이유는 그들이 그런 파티에 초대 받지 못했기 때문이다. 2017.02.24 16:57 dailysciences
루시드 드림(영화) ※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으니 영화를 보고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어디까지나 영화에 등장하는 과학적 이론과 사실에 초점을 맞추었으므로 줄거리 및 영화에 대한 내용이 매우 적습니다.※ 매트릭스(1999)의 스포일러가 있으니 아직(도(!)) 이영화를 보지 못한 사람은 이 파트는 읽지 말기를 권한다.※롤주의좀더 디테일하게 말하자면 서울에 살고 있는 A의 리 신이 부산에 살고 있는 B의 루시안에게 Q를 맞췄다. 킬각을 본 리 신은 그대로 Q를 한번 더 눌러 루시안에게 돌진한다. 그리고 루시안은 리 신이 자신에게 오자마자 E를 써서 자신의 진영으로 도망간다. 리 신은 와드+W를 쓰며 궁으로 루시안을 배달하려 했으나 루시안은 리 신의 W를보고는 동시에 점멸까지 써버린다. 이에 따라 배달은 실패하고 리 신은 때마침 튀어나온 리산드라의 궁에 얼어 붙는다! 인섹이 되고픈 브론즈여.이때 모든 그래픽은 개인의 컴퓨터에서 처리된다. 하지만 각 캐릭터의 행위가 일으킨 신호는 중앙서버에 전송되어 모든 상황이 10명에게 동일하게 돌아가게 된다. 리 신이 Q를 쓰면 이에 따라발생한 전기 신호는 랜선을 타고 중앙서버에 흘러가게 된다.중앙서버는 나머지 9명의 컴퓨터에게 리 신이 Q를 사용했다는 신호를 보내서 그것을 인지한 컴퓨터 9대와 리 신의 컴퓨터 1대, 총 10대의 컴퓨터가 같은 그래픽을 보여주게 되는 것이다. 보통 응답속도가 10ms1 이내이므로 우리는 거의 동시에 일어났다고 여기게 된다. 북미섭이나 PBE서버에서 응답속도가 130ms정도로 올라가게 되면 흔히 '렉이 걸렸다.'라고 표현하며 캐릭터의 움직임이 툭툭 끊기게 된다.이때 서울과 부산이라는 거리가 있지만 이는 '거의' 동시에 이루어지며 이런 상황에서 아무도 A의 소환사의 협곡에 B가 들어갔다고는 표현하지 않는다. 2017.02.23 22:41 dailysciences
케빈 베이컨 게임 헐리우드 영화배우 중에 케빈 베이컨이라는 사람이 있다. 그리고 이 사람이 개발한 것은 아니지만 케빈 베이컨 게임이라는 재미있는 수학적 놀이도 있다. 개발과정(?)에 전혀 참여하지도 않은 게임에 왜 이 사람의 이름이 붙었으며 이 게임은 뭐하는 게임일까? 1. 개요 케빈 베이컨 게임은 ... 2017.02.22 18:50 dailysciences
자각몽 연구 영화 「인셉션」은 꿈 속의 세계를 거대한 스케일로 표현했다. 이 영화의 핵심 키워드는 꿈 속의 꿈인 '몽중몽'과 꿈인 것을 알고 꾸는 '자각몽'이며 이 두 가지의 꿈은 실제로 가능하다. 그러나 타인의 생각을 빼오거나(디셉션) 특정한 생각을 심는(인셉션) 등의 기술이라던지, 모두가 함께 같은 꿈을 꾸는 일명 '공유몽'은 아직 불가능한 것이다. 2017.02.22 17:43 dailysciences
정신 병원에서 제정신으로 지내기 1962년에 켄 키지가 내놓은 소설 「뻐꾸기 둥지 위로 날아간 새」를 기억하는 사람이 있을 것이다. 감옥에 가는 것을 피하기 위해 정신병원에 입원한 사람의 이야기인데 이 소설처럼 일부러 정신병원에 입원한 8명의 사람들이 있었다. 물론 과학적인 실험을 위해. 1. 개요 이 실험은 스탠... 2017.02.21 21:07 dailysciences
바나나 껍질은 왜 미끄러울까? 바나나 껍질은 미끄럽다. 이 당연한 사실은 많은 사람에게 영향을 주었다. 그리하여 바나나껍질은 각종 매체 전반에서 개그씬에 특화된 아이템으로 등장하기도 한다. 이 바나나껍질이 개그 소재로 쓰인 것은 1900년 초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빌리 왓슨이라는 사람이 그 최초로 알려져있다. 이 사람 이후에 무성영화... 2017.02.21 21:06 dailysciences
헬리코박터 프로젝트 광고 좀 봤다고 하는 사람들은 헬리코박터 프로젝트라고 하며 나온 이 제품을 기억할 것이다. 그런데 왜 하필 헬리코박터 프로젝트이며 왜 이러한 이름을 지었는지 이제는 사람들의 기억속에서 서서히 잊혀지고 있다.뭔가 광고같지만 이 제품은 헬리코박터 파일로리라고 하는 균에 대항할 수 있다고 한다. 이 세균이 발견된 것은 정말 최... 2017.02.21 21:06 dailysciences
거꾸로 안경 이것은 실제로 판매하고 있는 안경이다. 일명 Reversing Goggles, 혹은 Upside Down Glasses라고 하는데 말그대로 이것을 쓰면 위아래가 거꾸로 보인다. 지금은 재미있는 장난감 정도로 여겨지고 있지만 1896년에 이것을 만들어 쓰고 거꾸로 세상에 노출된 자신의 뇌를 연구한 한 과학자가 있었... 2017.02.21 21:06 dailysciences
감기는 추워서 걸리는가? 정말 추위로 감기에 걸리는 것이라면 잭은 죽기 직전까지 심하게 앓았을 것이다. 얼든 말든 신경 쓰지 않는 로즈는 덤.Sir. Christopher H. Andrew. 영국의 바이러스 학자로 1933년에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를 발견한 사람이다. 2017.02.21 21:06 dailysciences
사고 실험이란? 1. 사고 실험.사고 실험(思考實驗 Thought Experiment) 현실에서 불가능한 일들을 머리 속으로 상상해 보는 실험. 독일에서 유래된 용어이며 독일어로는 Gedankenexperiment (게당켄엑스페리멘트)라고 한다. 기록으로 남아있는 최초의 사고 실험은 고대 그리스 시... 2017.02.21 21:05 dailysciences
마찰과 관성 이 사고 실험은 갈릴레오 갈릴레이가 행한 것으로 물리학 교과서에 관성을 다루는 파트에서 자주 나오는 유명한 실험이다.먼저 마찰이 없는 빗면을 가정한다. 마찰이 없는 빗면이란 존재하지 않으므로 당연히 상상을 통한 사고 실험을 할 수 밖에 없다. O지점에서 굴러간 공은 빗면의 모양에 따라 A, B, C 지점에 가서 ... 2017.02.21 21:05 dailysciences
파블로프의 개 과학에 관심 있는 사람은 물론, 전혀 관심 없는 사람도 한 번쯤은 들어봤을 「파블로프의 개」로 유명한 실험이다. VS 실험으로 「파블로프의 개 vs 슈뢰딩거의 고양이」가 있다. 정확한 용어는 「고전적 조건 형성 실험」이라고 하며 파블로프란 사람이 개를 이용해 실험을 했다고 해서 간단히&nbs... 2017.02.21 21:05 dailysciences
원숭이 애착 실험 "사람은 밥만으로는 살 수 없다" 라는 말이 있다. 물론 목숨을 연명하는 것을 사는 것이라고 정의한다면 밥만으로도 살 수 있겠지만 누구도 그러한 것을 '산다'라고는 하지 않는다. 이것은 비단 동물에게도 마찬가지로 적용되는 것으로 갇혀 지내는 새나 기타 애완동물들의 수명이 짧은 것도 그들이 밥만으로는 살 수 없기 때문이다.... 2017.02.21 21:04 dailysciences
복제양 돌리 1997년 2월 27일자 발간된 NATURE지의 표지를 장식하고 있는 돌리.세상에서 가장 유명한 동물은 여럿 있지만 그 중 인간이 인위적으로 만들어낸 동물 중엔 단연 복제된 양 한 마리가 가장 유명할 것이다. 돌리는 최초로 복제된 동물은 아니며 1902년 스위스의 스페만이 도룡뇽을 복제했던 것을 최초의 복제 실험으로 보고... 2017.02.21 21:04 dailysciences
델가도 투우 - 소의 뇌를 조작한 투우 실험 투우는 스페인이 속한 이베리아 반도의 명물 경기 중 하나이다. 최근에 와서는 위험하기도 하고 동물학대 논란이 있기도 했지만 여전히 스페인하면 투우가 떠오르기 마련이다. 그리고 투우의 나라라는 명성에 걸맞게 스페인의 한 신경과학자가 투우를 이용한 실험을 하나 진행하였다. 1. 개요투우하고는 거리가 먼 이 과학자의 ... 2017.02.21 21:00 dailysciences
폭스 강연 실험 - 권위와 헛소리에 대하여 아인슈타인은 누구나 알고 있는 유명한 과학자 중 한 사람이다. 그런 그에게 대학생을 상대로 강연을 시켰는데 말도 안되지만 그럴듯한 헛소리만 반복한다고 가정해보자. 그럼 그 강의실의 누군가가 아인슈타인에게 '개소리하지 말라'고 지적할까? 아니면 강의가 끝난 뒤에 훌륭한 강연이었다며 칭찬을 아끼지 않을까? ... 2017.02.21 20:59 dailysciences
밀그램의 복종 실험 1. 심리 실험계의 양대 산맥 과학이나 심리학에 별다른 관심을 가지지 않아도 한 번쯤은 투톱을 달리는 두 실험을 들어는 보았을 것이다. 둘 다 수많은 논란거리를 남겼으며 사회에 커다란 충격을 던져 주었다. 1961년 예일대학교 조교수였던 스탠리 밀그램이 했던 일명 '밀그램의 복종 실험'이라... 2017.02.21 20:59 dailysciences
목격자의 진술은 믿을만한가? 1. 개요 1901년 12월 4일 독일 베를린 대학에서 프란츠 폰 리스트 교수가 프랑스의 법학자 가브리엘 타르드의 이론에 대한 소개를 막 끝냈을 때였다. 갑자기 두 여학생이 언쟁을 시작하더니 급기야는 한 사람이 권총을 빼 들고 상대방의 이마에 총구를 갖다 댔다. 이 모습을 본 교수가 급히 ... 2017.02.21 20:59 dailysciences
최초로 우주를 비행한 동물 <라이카의 모습> 인간보다 먼저 우주를 비행한 동물이 있었다. 소련의 라이카라는 개가 그 주인공인데 '생물체가 우주에 적응할 수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한 실험이었다. 1. 개요 2차 세계대전이 끝나고 세계는 미국과 소련이 주도한 냉전 시대로 접어들게 ... 2017.02.21 20:59 dailysciences
오로라의 아버지 Aurora on March 24, 2014 near Fairbanks, Alaska. Credit and copyright: John Chumack. 극지방 근처에서 나타나는 빛의 무도회 오로라. 오로라의 생성원인을 규명하고 실험실에서 직접 오로라를 만들어낸 사람이 있다. 그의 이름은 크리스티앙 올라프... 2017.02.21 20:58 dailysciences
아폴로 15호의 낙하실험 1. 아폴로 15호 냉전 시대, 소련과의 무한 경쟁 속에 탄생한 아폴로 계획, 그 15번째 프로젝트. (유인 우주선으로는 9번째 미션) 1971년 7월 26일 13시 34분 00초(UTC)에 발사하여 동년 동월 30일 22시 16분 29초(UTC)에 착륙, 동년 8월 7일 20시... 2017.02.21 20:58 dailysciences
세상의 크기를 잰 사람 1. 세상 세상은 받아들이는 사람에 따라 그 크기가 천차만별이다. 어딘가에서는 두 원수가 하필이면 외나무다리에서 만나기도 하고, 날을 잡고 만나지 않으면 서로 마주칠 수도 없는 그런 세계에서 우리는 살고 있다. 이러한 들쑥날쑥한 세계의 크기를 최초로 정량적으로 측정한 사람이 있었다. 그것도 이천년도 더 전에.&... 2017.02.21 20:58 dailysciences
몽골피에 형제의 기구 최초로 하늘을 난 사람은 누구냐 하고 물어보면 보통 그 유명한 라이트형제가 반사적으로 튀어나오겠지만 그 이전엔 몽골피에 형제의 기구가 있었다. 또 몽골피에와 라이트 형제 사이에 독일의 오토 릴리엔탈이라는 사람이 무동력 글라이더를 만들어 하늘을 난 기록을 갖고 있다.즉, 인간이 하늘을 날아다닌 비행기구의 역사를 훑어보면 몽... 2017.02.21 20:57 dailysciences
화이트코트 작전 - 현대적인 생물무기의 시작 모든 것을 다 쏟아부어야 하는 전쟁사에서 다양한 무기가 등장했지만 그 중 생물학 무기는 꽤 옛날부터 그 위력을 발휘한 무기 중 하나였다. 가장 대표적으로 사용된 무기는 페스트(=흑사병)를 이용한 것으로 1347년 킵차크 칸국이 유럽을 공격할 때 페스트에 걸려 죽은 병사의 시체를 투석기로 성안으로 쏘아보낸 것이 그... 2017.02.21 20:57 dailysci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