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 독(Poison) 독(Venom) 독(Toxin) ( 6 판 )
Poison
Venom
Toxin
Poison과 Venom과 Toxin의 차이
1. 개요
일반적으로 한국어에서는 굳이 구분하지 않지만 영어권 국가에서는 '독毒'을 지칭할 때 세 가지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물론 일상적인 생활에서는 혼용하여 사용하지만 위급한 상황이나 학문의 영역으로 가면 구분하여 쓰고 있다. 독에 중독되었을때 어떤 독인지에 따라 치료 방법이 다르기 때문이다.
이 독은 크게 Poison과 Venom, 그리고 Toxin의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가장 간단하게 이 용어를 구분하자면
Venom은 물려서 중독되는 독
Toxin은 전반적인 독극물 전체를 뜻한다.
Venom은 Toxin이자 Poison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Poison은 Toxin에는 포함되지만 Venom이 아니며
Toxin은 Venom과 Poison 둘 다에 들어갈 수 있다.
같은 독성분을 지닌 것이라도 형태에 따라 Poison이 되기도 하고 Venom이 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테트로도톡신이라는 물질이 있다. 이는 복어와 푸른 고리 문어, 둘다 가지고 있으나 먹어서 중독되는 복어의 경우에는 Poison이라고 하고 이 독을 가지고 공격을 하는 푸른 고리 문어의 경우에는 Venom이라고 한다.
테트로도톡신을 가지고 있는 복어. Poison이다.
테트로도톡신을 가지고 사람을 물어서 공격하는 푸른 고리 문어. Venom이다.
2. Poison
『배트맨과 로빈』에서 빌런인 '포이즌' 아이비로 분한 우마 서먼.
이 영화에는 관객들을 죽일 수 있는 독이 있으니 시청을 금한다는 표시일 수도 있다.
실제로 『배트맨과 로빈』은 오리지날 배트맨 4부작 중 가장 낮은 평을 달리고 있다.
포이즌은 식중독의 영어표현(Food Poisoning)만 봐도 알 수 있듯이 섭취하거나 피부에 스며들었을 때 중독되는 것을 의미한다. 가장 유명한 예가 역시 복어나 독 화살 개구리(Poison Dart Flog)를 들 수 있다.
색이 매우 화려하다. 155종 정도에 독을 가지고 있는 종은 65종 정도로 개구리를 감싸고 있는 점막에서 독이 뿜어져 나오므로 만지기만 해도 중독되는 위험한 녀석이다. 라틴 아메리카의 원주민들이 이 개구리의 독으로 독화살을 만들어 썼다고 하여 독화살 개구리라는 이름을 얻게 되었다.
3. Venom
Venom은 뱀이나 거미류가 물었을 때 효과가 있는 독을 지칭한다. 이 독은 상처를 내고 혈관으로 직접 주입되는 것이 특징으로 단백질과 신경독소로 이루어져 있어 신경을 교란시키거나 혈구를 터뜨리는 등의 일이 벌어진다. 뱀 뿐만 아니라 독을 이용해서 먹이를 사냥하거나 자신을 지키는 동물들은 꽤 많다.
호주에서 흔하게 발견되는 레드백 거미.
코모도 도마뱀
등이 있다.
4. Toxin
톡신은 독성 세포나 생물체 내에서 생산된 독성이 있는 물질로 제한한다. 그래서 인위적인 과정으로 합성된 독성 물질은 제외하고 있다.
Toxin에 Poison과 Venom이 모두 들어가며 대표적인 동물들은 다음과 같다.
보면 알겠지만 대부분 얌전할(?) 것처럼 보이는 녀석들은 전부 Poison이며 뭔가 무섭게 생겼거나 공격할 것 같은 놈들은 죄다 Venom쪽에 포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